623 |
- 안과 백내장 수술과 관련한 민간실손보험사들의 소송 제기의 문제점
-
안과 백내장 수술과 관련한 민간실손보험사들의 소송 제기의 문제점법무법인 세승 조진석 의료전문변호사/의사민간 보험회사가 판매하는 의료비 관련 보험상품(이하 ‘실손보험’이라 함)이 늘어나면서 실손보험 가입자 및 실손보험금 지급액이 증가하고 있다.이와 같이 실손보험금 지급이 증가하면서 보험금 지급에 따른 손해율을 줄이기 위해 최근 맘모톰이나 페인 스크램블러, M...
|
조진석 |
3,865 |
2022.04.12 |
622 |
- 2021년 보건의료 입법 경향 및 내년 전망
-
2021년 보건의료 입법 경향 및 내년 전망 법무법인 세승대표변호사 김선욱2021년 코로나 백신접종으로 인해 위드코로나 시대가 시작되나 싶었지만, 다시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가 염려되고 확진자 수가 대폭 증가하면서 연말이 매우 어수선하다.대선정국으로 인해서인지 모든 이슈가 대선에 몰려 있기는 하나 2021년에도 주목할 만한 보건의료 관련 입법이 있었고, 시행...
|
김선욱 |
3,936 |
2021.12.27 |
621 |
- 사법부가 바라본 마취전문간호사의 업무범위는?
-
사법부가 바라본 마취전문간호사의 업무범위는?법무법인 세승대표변호사 현두륜보건복지부 장관이 2021. 8. 3. 「전문간호사 자격인정 등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령안(이하 ‘개정안’이라고 함)을 입법 예고하였다. 개정안은 2018년 개정된 「의료법」 제78조에 따라, 전문간호사의 분야별 업무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전문간호사 자격 제도를 활성화하고 전문의료인력을...
|
현두륜 |
4,272 |
2021.09.13 |
620 |
- 병원계 이슈-면허취소 사유 확대 방안
-
병원계 이슈-면허취소 사유 확대 방안법무법인 세승대표변호사 김선욱문민정부라 불리는 김영삼 정부는 우리 사회에 전반에 걸쳐 국민의 자율과 창의를 저해하고 경제활동을 위축시키는 정부의 각종 규제를 폐지하거나 정비하기 위해 행정규제기본법을 제정하였다.이전 정부가 국가개발 독재에 따라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상당 부분 제한하고 있었다는 반성적인 고려에서 비롯된 선진...
|
김선욱 |
4,056 |
2021.08.25 |
619 |
- 2020년 보건의료 입법 경향 및 2021년 전망
-
2020년 보건의료 입법 경향 및 2021년 전망 법무법인 세승대표변호사 김선욱코로나로 시작된 2020년은 한 해 동안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벌였고 내년에도 녹녹치 않을 전망이다. 병원계를 둘러싼 법적 환경도 규제강화로 나가고 있어 긴장을 놓쳐서는 안 된다. 변화된 상황을 미리 알고 대처를 해야 한다는 면에서, 2020년을 마감하면서 보건의료 관련 입법 경향...
|
김선욱 |
4,641 |
2021.01.07 |
618 |
- 직장 내 괴롭힘 금지 시행 1년, 제도 정착을 위한 제언
-
직장 내 괴롭힘 금지 시행 1년, 제도 정착을 위한 제언법무법인 세승대표변호사 김선욱대부분의 국민들은 직장을 가지게 된다. 직장은 꿈을 이루게 하고 생계를 유지하게도 하지만 생활방식이나 성격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여야 하기 때문에 어려움도 준다. 가정이나 학교 그리고 직장 등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모임에는 갈등이 있기 마련이다.갈등이 외형적으로 표출되어...
|
김선욱 |
5,033 |
2021.01.07 |
617 |
- 우리나라와 외국의 원격의료 등 규제 비교
-
우리나라와 외국의 원격의료 등 규제 비교법무법인 세승변호사 김선욱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이른바 원격의료의 국내 규제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다시금 제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올 2월 한시적으로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않는 진료를 허용하고 있다.전염병의 속성상 당연하고 합리적인 대처이다.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해외 여러 국가에 비해 코로나 사태를 비교적 잘 대...
|
김선욱 |
12,357 |
2020.05.04 |
616 |
- 의료수가를 규율하는 건보제도
-
의료수가를 규율하는 건보제도법무법인 세승의료전문변호사 김선욱의료제도를 구성하는 마지막 구성요소인 ‘의료수가 제도’에 대하여 지난 호에 이어 살펴보면서 의료에 관한 쟁점 소개를 이번 호로 마감하겠다. 관심을 주신 독자께 감사드린다.수가는 지난 호에서 본 바와 같이 의료인과 환자 간에 자율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국민건강보험법령 및 위임에 의한 세부 고시나...
|
김선욱 |
5,440 |
2020.03.27 |
615 |
- 간호조무사의 진료보조행위의 범위
-
의료법에 의하면 간호조무사는 진료보조행위를 할 수 있다. 이때 간호조무사가 할 수 있는
진료보조행위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가 문제될 수 있다. 의료법은 간호조무사가 진료보조행위를 할 수
있다고만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그 범위가 구체적으로 어디까지인지는 개개의 사안마다 개별적으...
|
정재훈 |
6,743 |
2020.03.03 |
614 |
- [기고문]_ 직접 진찰하지 않은 의사 명의의 처방전 발행
-
직접 진찰하지 않은 의사 명의의 처방전 발행법무법인 세승정재훈 변호사의료법 규정에 의하면 환자를 직접 진찰한 의사가 아니면 진단서 또는 처방전 등을 발행할 수가 없다. 최근 이와 관련된 행정소송 판결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원고는 개인의원을 운영하는 의사인데, 휴가를 가면서 대진의를 고용하였다. 대진의가 환자 진찰을 하고 처방전을 발행하면서 자신의 명의로 ...
|
정재훈 |
6,008 |
2020.02.12 |